설문: 12개의 설문을 읽고, 자신이 수행했던 프로젝트경험으로 생각했을 때,
어느쪽(A 혹은 B)이 더 선호되는지, 노란색 칸을 누르고 콤보박스의 선호도 숫자를 선택해주세요~^^
A쪽이 맞다고 생각하면 minus점수(-10 ~ -1) (A쪽 생각이 더 선호될 수록 -10에 가까운 점수 배정해주세요) B쪽이 맞다고 생각하면 plus점수.(10 ~ 1) (B쪽 생각디 더 선호될루록 10에 가까운 점수 배정해주요)
설문번호 설문
1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 가이드로 참조할 문서가 있을 때, 어느 구성이 더 가이드로서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가?
A. 지식체계별로 구성
즉, 일정관리, 원가관리, 품질관리 등 각 지식영역별로 한 챕터씩 수행해야할 가이드가 정리되어 있는 문서
B. 프로젝트의 라이프사이클별 구성
즉, "프로젝트시작준비, 프로젝트 시작, 프로젝트 Control, ..., 프로젝트 종료"처럼 프로젝트의 라이프사이클별 챕터가 구성된 문서
2 프로젝트관리용 가이드 문서의 범위
A. 프로젝트 관리 부분에 중점을 두고 작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B 프로젝트관리 부분뿐 아니라, "Corporate or Programme Management, Directing a Project, Managing a Project, Managing Product Delivery" 등
프로젝트의 상/하위 단위에 대한 관리영역도 가이드되어 있는 것이 좋다.
3 프로젝트의 책임자는?
A. PM(Project Manager)이다.
B. Executive이다. PM은 Executive가 의장으로 있는 Project Board에서 정한 한계내에서, Product을 Delivery하기위한 일련의 작업들에 대한 권한과 책임만 진다.
4 프로젝트가 시작될 수 있게 권위를 가진 문서의 필요성
A. 필수일 필요 없다. 그러나, 프로젝트가 시작될 때 필요한 정보들이 문서로 제공되면 좋겠다.
B. 필수라야 한다. 수행할 프로젝트가 어떤 것이고, 목적은 무엇이며, 왜 시작되었고, 언제 시작해서 Due Date는 언제인지가 필수로 제공되야 한다.
5 인전자원관리가 중요한가?
A. 일정관리, 원가관리, 품질관리 만큼 중요하다.
B. 일정관리, 원가관리, 품질관리 만큼은 중요하지 않다.
6 프로젝트 관려자들의 역할에 대한 정의
A. PM의 역할을 정확하게 명시해도 충분하다.
B. PM의 역할 뿐 아니라, Project Support Office, Executive, Senior User, Senior Supplier에 대한 역할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7 PM의 역할은?
A. The role with total business responsibility for an entire project; the individual who directs, controls, administers, and regulates a project . . .
[and] is the individual ultimately responsible to the end user.
B. The person given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o manage the project on a day-to-day basis to deliver the required products within
the constraints agreed with the Project Board.
8 계획(Planning)에 대한 가이드
A. 다양한 프로젝트의 성격상, 구체적으로 계획을 어떻게 세우는지 등 기술적인 언급보다, 계획을 어떻게 세우고, 세운 계획이 어느 프로세스에 영향을 주는지 등
계획의 추상적인 특성을 설명하고, 실제 프로젝트에 이 원리들을 적용하는 것은 실제 프로젝트 진행자에게 맡긴다.
B. 제품(Product)을 Delivery한다는 가정을 하고, 어떻게 계획을 세우는지 Detail하게 기법과 산출물들을 예시로 하며 가이드한다.
9 가이드 전체의 묘사방법
A. 추상적으로 그 원리에 중심을 둬 설명한다. 프로젝트들이 다양하기에 그 적용은 실제 프로젝트 담당자의 몫이다.
B. 원리를 설명하지만, Product Delivery 프로젝트를 가정하고, 실제 사례에 보다 근접한 Detail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10 가이드가 추구해야할 목적은?
A. best approach for purposes of teaching the subject content of each knowledge area
B. 프로젝트의 라이프사이클에 따라 해야 하고 알아야할 사항들을 효율적으로 전달
11 프로젝트란?(정의)
"A. Projects are often implemented as a means of achieving an organization's strategic plan”
“Projects are undertaken at all levels of the organization"
B. A project is a temporary organization that is created for the purpose of delivering one of more business products according to an agreed Business Case
12 프로젝트를 어느 관점에서 보고 가이드해야하는가?
A. Project Owner의 관점에서
B. Project를 수행해야하는 Seller 혹은 Buyer의 관점에서
기본 사항: 노란색 칸을 누르면 콤보박스가 나옵니다. 콤보박스의 값 중 하나를 선택해 주세요~
나이(만)
성별
주요 프로젝트 영역
프로젝트 수행 경력